취업/수험서/교재

이페이지

제24회 소방시설관리사 기출문제 상세 해설 (제5과목 소방시설의 구조원리)

제24회 소방시설관리사 기출문제 상세 해설 (제5과목 소방시설의 구조원리)

제24회 소방시설관리사 기출문제 상세 해설 (제5과목 소방시설의 구조원리)

저자 우슬초

|

출판사 이페이지

|

출간일 2025.01.14

|

가격 2,000

책소개

이 책은 2024년도에 시행된 제24회 소방시설관리사 기출문제를 상세하게 해설한 책입니다. 기출문제는 최고의 예상 문제라고들 합니다. 이 책을 통하여 다음 시험의 출제 경향을 파악하시고, 최소의 노력으로 소방시설관리사 자격시험에 합격하는 영광을 누리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이 책의 본문은 10P 크기의 흑색 글씨로, 보충 설명은 8~9P 크기의 적색, 청색 및 녹색 글씨로 표기하였습니다.

작가소개

우슬초

저서 - 소방시설관리사
1) 제22회 소방시설관리사 기출문제 해설 제1과목 소방안전 관리론 및 화재역학
2) 제22회 소방시설관리사 기출문제 해설 제3과목 소방관련법령
3) 제24회 소방시설관리사 기출문제 상세 해설 제3과목 소방관련법령
4) 제24회 소방시설관리사 기출문제 상세 해설 제4과목 위험물의 성질 상태 및 시설기준
5) 제24회 소방시설관리사 기출문제 상세 해설 제5과목 소방시설의 구조원리

목차

101. 물올림 장치의 설치 기준
102. 펌프의 축동력(kW)
103. 옥상 수조 설치
104. 스프링클러 헤드의 최소 설치개수
105. 전기기기와 물분무헤드 사이의 이격 거리
106. 포소화 설비의 용어의 정의
107. 포소화 설비의 1분당 최소 방사량
108. 설치 장소별 피난기구 적응성
109. 피난유도선의 설치 기준
110. 설치하여야 할 연기감지기와 경계구역의 수
111. 비상방송 설비의 음향장치 설치 기준
112. 휴대용 비상조명등의 설치 기준
113.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장치의 기준
114. 소방펌프의 양정과 회전수
115.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장치의 배선의 기준
116. 건설 현장의 화재안전기술기준
117. 이산화탄소소화설비
118.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약제의 설계농도
119. 분말소화약제의 최소 저장량
120. 제연구역에 관한 기준
121. 송수구와 방수구의 설치 기준
122. 소형소화기의 최소 설치개수
123. 송수 구역에 부착하는 살수헤드의 수
124. 전원 및 콘센트의 기준
125. 무선통신 보조설비의 기준

출판사 서평

106. 포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술기준상 용어의 정의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비확관형 분기배관”이란 배관의 측면에 분기호칭내경 이상의 구멍을 뚫고 배관이음 쇠를 용접 이음한 배관을 말한다.

② “포소화전설비”란 포소화전방수구・호스 및 이동식포노즐을 사용하는 설비를 말한다.

③ “주펌프”란 구동장치의 회전 또는 왕복운동으로 소화용수를 가압하여 그 압력으로 급수하는 주된 펌프를 말한다.

④ “프레셔 프로포셔너방식”이란 펌프의 토출관에 압입기를 설치하여 포소화약제 압입용 펌프로 포 소화약제를 압입시켜 혼합하는 방식을 말한다.

..........................................................................................................................................................................
☞ 정답 ④
..........................................................................................................................................................................

① “비확관형 분기배관”이란 배관의 측면에 분기호칭내경 이상의 구멍을 뚫고 배관이음 쇠를 용접 이음한 배관을 말한다. (○)

☞ 포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술기준(NFTC 105)
1. 일반사항
1.7 용어의 정의
1.7.1 이 기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1.7.1.20 “분기배관”이란 배관 측면에 구멍을 뚫어 둘 이상의 관로가 생기도록 가공한 배관으로서 다음의 분기배관을 말한다.
(1) “확관형 분기배관”이란 배관의 측면에 조그만 구멍을 뚫고 소성가공으로 확관시켜 배관 용접이음자리를 만들거나 배관 용접이음자리에 배관이음쇠를 용접 이음한 배관을 말한다.

(2) “비확관형 분기배관”이란 배관의 측면에 분기호칭내경 이상의 구멍을 뚫고 배관이음쇠를 용접 이음한 배관을 말한다.


② “포소화전설비”란 포소화전방수구・호스 및 이동식포노즐을 사용하는 설비를 말한다. (○)

☞ 포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술기준(NFTC 105)
1. 일반사항
1.7 용어의 정의
1.7.1 이 기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1.7.1.16 “호스릴포소화설비”란 호스릴포방수구ㆍ호스릴 및 이동식 포노즐을 사용하는 설비를 말한다.
1.7.1.17 “포소화전설비”란 포소화전방수구ㆍ호스 및 이동식포노즐을 사용하는 설비를 말한다.


③ “주펌프”란 구동장치의 회전 또는 왕복운동으로 소화용수를 가압하여 그 압력으로 급수하는 주된 펌프를 말한다. (○)

☞ 포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술기준(NFTC 105)
1. 일반사항
1.7 용어의 정의
1.7.1 이 기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1.7.1.27 “주펌프”란 구동장치의 회전 또는 왕복운동으로 소화용수를 가압하여 그 압력으로 급수하는 주된 펌프를 말한다.


④ “프레셔 프로포셔너방식”이란 펌프의 토출관에 압입기를 설치하여 포 소화약제 압입용 펌프로 포 소화약제를 압입시켜 혼합하는 방식을 말한다. (×)

리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