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페이지
선교사가 쓴 한국의 역사 2
선교사가 쓴 한국의 역사 2
저자 조용선
|
출판사 이페이지
|
출간일 2025.09.18
|
가격 10,000
책소개
2000년 중국 선교사로 간 나는 목사이기에 성경을 통해 이스라엘 역사를 강의할 수 있고 또 선교사이기에 중국 역사를 잘 공부해서 중국인에게도 강의할 정도가 되었다고 자부하는데 이상하게 한국 역사를 강의하려면 뭔가 논리에 맞지 않는 것을 느꼈다. 그래서 시간이 될 때마다 책을 읽고 조금씩 기록해두다 보니 그것이 어느새 한편의 역사책이 될 만했다. 나는 선교사의 자녀로 외국에서 사는 아이들이 한국어 어휘와 역사 상식이 부족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내가 쓴 역사책을 읽도록 했다. 나는 나름의 민족의식과 역사의식이 있어 나의 아이들이 아주 어렸을 때부터 중국에서 애국가와 서정성이 있는 노래를 부르게 했다. 그래서 나의 작은아들은 4살 때 중국 애들을 보고 “워스 한구어런!(我是韩国人)”이란 말을 자주 했다. 작은아들은 나름 한국을 자랑스러워했다. 내가 한국 역사책을 쓰다 보니 약간 소문이 나서 선양에 있는 한국 국제학교에서 역사 교사가 되기도 했다. 지금 생각해보면 모두 즐거운 시간이었다. 나는 무엇보다 나의 책으로 조선족 기독교 지도자에게 한국 역사를 알려주었던 것이 의미 있었다. 역사를 모르던 사람에게 역사를 알려주는 것은 뿌리를 찾게 하는 것과 같다.
나는 나의 책이 먼저 선교사님과 자녀들에게 읽히기를 원한다. 왜냐하면, 희한하게 선교하려면 선교사가 먼저 자기 나라 역사를 알아야 하기 때문이다. 역사는 사람의 좌표에 해당한다. 역사를 알아야 자기 좌표가 나온다. 그 위에 예수가 임하는 것이다. 선교지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선교지의 기독교인도 자기 역사를 알아야 한다. 선교사가 역사의 의미를 알면 선교지의 지도자들도 그것을 알게 된다. 이것이 왜 중요하냐면 지금까지 개신교 선교는 제국주의적인 성향이 있었기 때문이다. 서구 열강의 제국주의는 식민지 사람들이 자기 언어와 역사를 갖는 것을 좋아하지 않았다. 왜냐하면, 자기 역사와 언어를 갖고 있으면 언제인가는 독립하려고 하기 때문이다. 이집트에 노예로 있던 사람들이 해방하고 독립하게 되는 이유가 무엇인가? 그것은 하나님을 찾고 자기 조상 아브라함을 알았기 때문이다. 아브라함을 안다는 것이 무엇인가? 그것이 곧 역사이다. 구약 성경에서 하나님을 소개할 때는 꼭 ‘아브라함과 이삭과 야곱의 하나님’이라고 한다. 이게 무슨 뜻이냐? 히브리인의 역사라는 뜻이다. 그들은 떠돌이 히브리인에서 아브라함과 이삭과 야곱의 하나님을 만나면서 이스라엘이란 나라를 세우게 되었다. 마찬가지 원리이다. 요한계시록 7장 9절에 보면 예수님 재림할 때 각 나라와 족속과 백성과 방언에서 큰 무리가 나와 재림하신 예수 그리스도를 영접하게 된다. 이 말씀의 뜻은 예수 재림 때까지 이 세상에는 각 나라와 민족과 국민과 언어가 그대로 있다는 뜻이다. 그러니까 개신교 선교는 각 나라와 민족과 국민과 언어에 맞춰서 선교해야 한다. 제국주의 정책에 따라 각 나라와 민족과 국민과 언어를 파괴하거나 소멸시키는 것을 맞춰 행동할 것이 아니다. 이런 의식에서 나는 먼저 나의 나라와 민족과 역사와 언어를 살펴보고 그다음 선교지의 사람들에게 그렇게 말하고 가르쳤다. 따라서 이 역사책은 나의 역사책이 된다. 나는 기독교의 지도자들 목사, 선교사, 교수가 다 자기의 역사를 세우고 그다음 기독교의 제자들을 자기 나라와 민족과 역사와 언어에 선 사람으로 세우는 것이 성경의 원리를 따르는 것이라고 본다.
작가소개
조용선
학력:
총신대학교 신학과 (B.A.)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M.Div. equip)
아세아연합대학교 대학원(Th.M.)
중국선양사범대학교 대외한어과(B.A.)
경력:
한국공군목사
GMS선교사
선양한국국제학교(SYKIS) 역사교사
세계선교신학원 역사신학(M.Div.과정) 강사
목차
감사의 말
내가 한국 역사를 바라보는 관점 1~4편
6단원 고려(高麗)시대
1부 고려왕조사(高麗王朝史)
1장 태조
1절 약력(略曆)
2절 『훈요십조』 1항 내용 2항 조작설 3절 지방색 4절 신숭겸
2장 혜종 3장 정종
4장 광종
1절 즉위 2절 왕권 강화정책 1항 노비안검법 2항 과거제도 3항 숙청
3절 그 밖의 정치
5장 경종
6장 성종
1절 출생과 성장과정 2절 『시무 28조』 3절 행정구조 4절 유교
5절 서희와 강동 6주
7장 목종
1절 천추태후 2절 강조의 정변 3절 동전에 관한 이야기 4절 고려사회
8장 현종
1절 출생과 성장 그리고 즉위 2절 중앙집권적 행정체제 3절 요나라의 침입과 자주적 외교 실현 4절 문화적 발전 5절 강감찬(姜邯贊) 6절 요나라와 2, 3차 전쟁의 세밀한 전황 1항 요나라의 2차 침입과 양규(梁珪) 장군 2항 요나라의 3차 침입과 현종 그리고 강감찬 3항 고려의 현종과 조선의 선조 그리고 양규, 강감찬, 이순신
9장 덕종 10장 정종 11장 문종 12장 순종 13장 선종 14장 헌종 15장 숙종
16장 예종 17장 인종 18장 의종 19장 명종 20장 신종 21장 희종 22장 강종
23장 고종 24장 원종
25장 충렬왕 26장 충선왕 27장 충숙왕 28장 충혜왕 29장 충목왕 30장 충정왕
31장 공민왕
1절 공민왕 1항 원나라 배척 운동 2항 국토회복운동 3항 왕권 강화를 위한 행정 개혁 운동 4항 왕권 강화를 위한 균형 정책 5항 쇠락 6항 죽음 7항 공민왕의 그림 2절 신돈 3절 문익점과 목화 4절 고려의 가요 1항 속요(俗謠) 2항 대표적인 속요 1. 가시리 2. 서경별곡(西京別曲) 3. 청산별곡(靑山別曲) 4. 쌍화점(雙花店) 3항 네 노래에 관한 해석
32장 우왕 33장 창왕 34장 공양왕
7단원 조선(朝鮮) 시대
1부 조선왕조사(朝鮮王朝史)
1장 태조 2장 정종 3장 태종
4장 세종
1절 세종 1항 세자책봉 2항 세종에게 주어진 시대적 요청 3항 세종대왕의 치적 1. 개간사업 2. 과학과 영농 3. 영토 개척 4. 세제개혁 5. 문명사회 6. 훈민정음과 집현전 7. 훈민정음의 역사적 의미와 내력 4항 성군 세종 2절 황희 1항 두문불출 2항 상소 3항 중용 4항 일 잘하는 소 5항 옳음 6항 아이들 7항 인재 발굴 8항 김종서 3절 조선 시대의 생활 1항 왕의 생활 2항 관리의 생활 3항 농민과 노비의 생활 4절 조선 시대의 여성 5절 조선 시대의 의식주 1항 옷 2항 음식 1. 말하지 마! 2. 두 끼만 먹기 그리고 점심의 뜻 3항 집 6절 조선 시대 아이들의 놀이 7절 조선 시대의 책과 신문 8절 『조선왕조실록』
5장 문종 6장 단종 7장 세조 8장 예종 9장 성종 10장 연산군 11장 중종
12장 인종 13장 명종
14장 선조
1절 약력 2절 붕당 3절 정여립 사건과 기축옥사 4절 이황 5절 이이 6절 성리학 요약 7절 신사임당 8절 임제 9절 임진왜란 10절 임진왜란 당시의 사회적 상황 11절 이순신 12절 왜란의 영향 13절 안토니오 코레아와 오타 쥬리아
15장 광해군 16장 인조 17장 효종 19장 숙종 20장 경종 21장 영조
22장 정조
1절 정조 2절 유득공 3절 안정복 4절 실학 5절 실학의 선구자들 6절 중농주의 실학자 7절 중상주의 실학자들 8절 실사구시의 실학자
23장 순조 24장 헌종 25장 철종 26장 고종
참고문헌
출판사 서평
리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