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페이지
CORE 무역영어
CORE 무역영어
저자 김동근
|
출판사 이페이지
|
출간일 2024.05.31
|
가격 21,000
책소개
본서는 무역실무 지식의 검증을 위하여 ‘대한상공회의소’가 주관하는 자격증 ‘국가공인 무역영어’를 취득하고자하는 수험생들이 습득해야 할 핵심적인 무역실무 및 무역영어를 정리하여 무역영어 자격증을 취득하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함에 그 취지를 두고 있습니다.
작가소개
김동근
저는 경영대학에서 무역학을 전공하지 않았지만, 대략20년 정도의 무역경력자로, 부족한 점을 열정으로 채우며 대한민국의 매력 있고 수출 가능한 제품을 발굴하여 해외로 수출한다는 자부심을 않고 일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그 경험을 바탕으로 해서 대학 특강, 직업전문학교, 무역전문학원, 동영상 강의(무역실무) 등다년간의 무역실무를 강의하고 있으며, 2007년부터 중소기업 수출자문위원(중소기업청) 역할을 간간히 하고 있는 무역인입니다.
목차
무역관련 자격증 안내
1-1 무역영어 9
제1부
무역계약
제1장. 무역계약의 개념
제2장. 무역계약의 제 조건
제3장. 무역계약의 위반 및 구제
제4장. 무역클레임
제 2부
인코텀즈 2020
제1장. INCOTERMS 2020
제 3부
대금결제의 방식
제1장. 송금결제 방식
제2장. 추심결제 방식
제3장. 신용장결제 방식
제4장. 내국신용장 및 구매확인서
제5장. 기타 결제방식
제4부
운송 및 보험
제1장. 해상운송
제2장. 항공운송
제3장. 기타 운송
제4장. 해상보험
제5장. 해상위험
제 5부
무역 영어
제1장. 무역영어
부록 10부 10qn부 록
국제 규칙
제1장. UCP 600
제2장. CISG 1980
출판사 서평
* 무역영어 (시험준비)...
무역영어 자격시험을 어떻게 준비하면 좋을까요?
“무역실무는 암기과목이 아니라, ‘이해’ 과목임을 강조합니다.”
우선 시험을 치르고자 하는 분이, 무역관련 업무를 하고 계신다면 1~2달의 기간에 하루 1~2시간 정도로 시간을 할애하여 준비하면 되겠으나, 무역 문외한이거나 초보인 경우에는 보다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해야 할 것입니다. (대략 2~3달 동안 하루 2~3시간 정도면 좋을 듯함.)
*1단계 - 무역실무 정리하기
본 동영상 강의 특강파트에서, ‘무역실무 개념’과 ‘무역의 흐름’에 관해서 강조하고 있음을 눈여겨 봐주시길 바랍니다. 무역영어 시험준비도 국제무역사 시험준비와 마찬가지로 무역의 용어 및 흐름 파악이 중요합니다. 무역통신문의 문장구조(Pattern)를 학습하시려면 전반적인 무역실무의 이해와 학습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무역초보자나 문외한인 경우 2~3번 강독 바랍니다.)
무역실무 파트는, 무역계약(인코텀즈 포함), 무역결제, 운송 및 보험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먼저 무역계약의 내용 및 클레임에 관해서 공부하시고, 인코텀즈파트는 조문 해석을 통해서 숨은 뜻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인코텀즈의 정확한 의미를 알 수 있기 때문입니다.)
무역결제파트는 신용장의 정확한 개념(Concep)을 이해하셔야 보다 쉽게 접근할 수가 있습니다. 운송파트에서는 운송의 종류(벌크선 및 정기선운송) 및 선하증권(B/L)을 중심으로 공부하시고, 보험파트에서는 보험용어, 해상위험 및 해상손해를 중심으로 공부하시면 되겠습니다.
무역영어 시험은, ‘운송 및 보험의 용어들이 많이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특히 벌크선 용어 및 보험용어들의 표현법을 익혀두시면 시험문제 풀이에 좀 더 수월해집니다.
*2단계 - 무역영어 준비하기
무역영어파트는, 무역실무를 학습하실 때 주요한 무역용어를 영어로 어떻게 표현하는지를 알아두시되 (굳이 암기하려 하지 마시고) 실무용어의 이해를 통해 학습하시길 바랍니다.
또한 시험문제 중에서 무역영작 및 해석 부분은, 본 동영상 학습교재에 정리되어있는 무역통신문의 주요 용어 및 문장구조(Pattern)를 중심으로 공부하시면 됩니다.
*3단계 - (최신) 기출문제 풀기
1~3단계가 끝났다면, 기출문제를 푸십시오. 각종 시험의 가장 쉬운 합격방법은 기출문제를 푸는 것이라고 합니다. 왜냐면 시험문제를 풀어보면서 그동안 익혔던 무역실무와 무역용어를 얼마나 잘 이해하고 있는지, 시험의 출제경향 분석을 통한 시험 대비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최근 2~3년 전의 것을 중심으로 하여 문제를 푸는 것입니다. (3년 이상 지난 문제는 출제 경향이 다를 수 있음.) 주의할 점은, 문제를 풀어보고 난 후 학습교재를 통하여 맞는 문제는 재차 정리하고, 틀린 문제는 반드시 왜(?) 틀렸는지를 확인하고 재학습하셔야 합니다. (문제를 풀고서 답만 맞추면, 틀린 문제를 계속해서 틀리는 결과를 낳습니다.)
리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