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수험서/교재

이페이지

제14회 산업안전지도사 산업보건지도사 기출문제 해설 (제3과목 : 기업 진단ㆍ지도)

제14회 산업안전지도사 산업보건지도사 기출문제 해설  (제3과목 : 기업 진단ㆍ지도)

제14회 산업안전지도사 산업보건지도사 기출문제 해설 (제3과목 : 기업 진단ㆍ지도)

저자 우슬초

|

출판사 이페이지

|

출간일 2024.06.21

|

가격 3,000

책소개

이 책을 읽으시는 분들이 공부를 하는 목적은 학문적인 연구를 하기보다는 시험에 합격하기 위한 것일 겁니다. 그리고 시험은 과락 40점을 면하고 평균 60점을 얻으면 합격합니다. 100점을 맞을 필요가 없다는 것입니다.

시험공부를 하다 보면 느끼는 점이 있습니다. 그것은 기본서에 나오는 내용의 체계와 시험에 출제되는 내용의 체계가 서로 다르다는 점입니다. 사실 엄청나게 두꺼운 기본서를 다 알려면 머리가 터져버릴 정도일 것입니다. 그리고 그 기본서의 내용을 다 알아도 불합격할 수가 있습니다. 기본서의 내용이 시험에 출제되는 내용과 동떨어진 부분이 많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시험에 출제된 내용을 중심으로 깊이 있게 공부를 한다면 적은 노력으로도 소기의 성과를 달성할 수가 있을 것입니다.

이 책은 2024년도에 출제된 기출문제를 지문 하나하나마다 해당 법률 등의 근거를 들어 상세하게 해설하였습니다. 그리고 본문은 10P 크기로, 보충설명은 9P 크기로 표기하였습니다.

아무쪼록 이 책을 통하여 최소의 노력으로 합격하는 영광을 누리시기 바랍니다.

작가소개

우슬초

저서 - 산업안전지도사

1~3) 최근 6년간 기출문제 지문을 이론으로 구성한 산업안전지도사(전3권)
4~6) 최근 3년간 기출문제 지문을 이론으로 구성한 산업안전지도사(전3권)
7) 2022년도 1차 산업안전지도사 기출문제 해설 (전과목)
8~10) 산업안전지도사 기출문제 해설 (2020년도 10회) (전3권)
11~13) 산업안전지도사 기출문제 해설 (2019년도 9회) (전3권)
14) 산업안전지도사 기출문제 해설 (제3과목 : 기업진단ㆍ지도) (2018년도 8회)
15) 제13회 산업안전지도사 기출문제 해설 (제1과목)
16) 제13회 산업안전지도사 기출문제 해설 (제2,3과목)
17) 산업안전지도사, 경영지도사 기업 진단ㆍ지도 예상 지문(2024)
18) 제14회 산업안전지도사 산업보건지도사 기출문제 해설 (제1과목)
19) 제14회 산업안전지도사 기출문제 해설 (제2과목)
20) 제14회 산업보건지도사 기출문제 해설 (제2과목)
21) 제14회 산업안전지도사 산업보건지도사 기출문제 해설 (제3과목)

목차

51. 테일러의 과학적 관리법
52. 생산적 행동과 반생산적 행동
53. 직무평가
54. 노동쟁의조정
55. 조직설계에 영향을 미치는 기술유형
56. 수요예측 방법
57. 휴리스틱 계획기법
58. QC 7가지 도구
59. JIT(Just In Time) 시스템의 장점
60. 유용성이 높은 인사 선발 도구
61. 집단 또는 팀(team)
62. 동기이론
63. 산업심리학의 연구 방법
64. 라스뮈센의 인간행동 분류
65. 스웨인이 분류한 휴먼에러 유형
66. 인간의 뇌파
67. 면적과 관련된 착시현상
68. 신체와 환경의 열교환 종류
69. 특별관리물질
70. 노출 기준 사용상의 유의 사항
71. 용어의 정의
72. 시료채취
73. 중금속
74. 포름알데히드
75. 근로자 건강진단의 종류

출판사 서평

52. 조직에서 생산적 행동(Productive behavior)과 반생산적 행동(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CWB)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조직시민행동(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CB)은 생산적 행동에 속한다.

② OCB는 친사회적 행동이며 역할 외 행동이라고도 한다.

③ 일탈행동(Deviance)은 CWB에 속하지만 조직에 해로운 행동은 아니다.

④ 조직시민행동은 OCB I(Individual)와 OCB-O(Organizational)로 분류되기도 한다.

⑤ CWB는 개인적 범주와 조직적 범주로 분류할 수 있다.

..........................................................................................
☞ 정답 ③
..........................................................................................

① 조직시민행동(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CB)은 생산적 행동에 속한다. (○)
② OCB는 친사회적 행동이며 역할 외 행동이라고도 한다. (○)

1) 조직원들이 조직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공식적으로 주어진 임무 외에 자발적으로 수행하는 부차적인 행동을 의미한다.
2) 담당 업무도 아니고 보상도 없지만 구성원들이 조직의 발전을 위해 자발적으로 수행하는 다양한 지원 활동들을 말한다.
3) 조직시민행동은 구성원의 자발적이고 혁신적인 행동을 유발하므로 결과적으로 조직에 이익을 주는 생산적 행동에 속한다.

③ 일탈행동(Deviance)은 CWB에 속하지만 조직에 해로운 행동은 아니다. (×)

☞ ‘생산일탈’이란 종업원이 고의적으로 자신의 능력 이하로 업무를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당연히 조직에 해로운 행동이다.

④ 조직시민행동은 OCBI(Individual)와 OCB-O(Organizational)로 분류되기도 한다. (○)

☞ 조직시민행동(OCB)은 OCB-I(Individual)와 OCB-O(Organization)으로 구분되는데, OCB-I는 아픈 동료를 위해 그 일을 대신 해주는 것처럼 개인에 대한 시민행동이며, OCB-O는 시키지 않았지만 회사 제품을 홍보하는 것과 같은 조직에 대한 시민행동을 뜻한다.

⑤ CWB는 개인적 범주와 조직적 범주로 분류할 수 있다. (○)

1) Benntett과 Bobinson는 CWB를 조직적 CWB와 개인적 CWB로 나누어서 설명한다.

2) 조직적 CWB는 조직 내의 개인보다는 전체 조직이 행하는 행동으로 시간 허비하기, 사보타주, 지각하기, 다른 사람에게 조직에 대해 부정적으로 이야기하기 등을 들 수 있다.
3) 개인적 CWB는 전체 조직보다는 종업원 개인이 행하는 행동으로 타인에 대한 무례하고 모욕적인 언급, 악의적인 소문 내기, 점심이나 업무 후 회식에 다른 사람 제외시키기 등을 들 수 있다.

리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