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페이지
디지털시대 이기는 선거전략
디지털시대 이기는 선거전략
저자 서용원
|
출판사 이페이지
|
출간일 2025.02.11
|
가격 13,200
책소개
디지털 시대의 선거에서 스마트폰의 사용은 유권자와 후보자 간의 소통 방식을 혁신적으로 변화시켰습니다. 스마트폰은 언제 어디서나 정보를 검색하고 소통할 수 있는 도구로, 유권자들은 후보자의 공약과 정책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접근성은 유권자들이 보다 스마트한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도와주며, 선거 참여를 촉진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또한, 실시간 인터넷의 발전은 SNS 플랫폼의 활용을 가능하게 하여 선거 캠페인의 방식에 큰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카카오톡, 밴드, 블로그, 틱톡 등 다양한 SNS는 후보자들이 자신의 메시지를 직접 전달하고, 유권자들과의 상호작용을 강화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플랫폼을 통해 후보자들은 실시간으로 유권자들의 반응을 확인하고, 그에 맞춰 전략을 조정할 수 있는 유연성을 가지게 됩니다.
디지털 선거에서 SNS의 역할은 단순한 정보 전달을 넘어, 유권자와의 관계를 형성하고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유권자들은 SNS를 통해 후보자와 직접 소통하고, 자신의 의견을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며, 이는 선거 과정에서의 민주적 참여를 더욱 활성화합니다. 또한, SNS는 유권자들이 서로의 의견을 공유하고, 캠페인에 대한 논의를 촉진하는 플랫폼으로 기능하여, 선거에 대한 관심과 참여를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마지막으로, 디지털 선거는 데이터 분석과 타겟 마케팅의 가능성을 열어줍니다. 후보자들은 SNS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유권자들의 선호와 행동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맞춤형 캠페인을 전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데이터 기반 접근은 선거 전략의 효율성을 높이고, 유권자와의 연결을 더욱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디지털 시대의 선거는 이러한 다양한 요소들이 결합되어, 보다 민주적이고 참여적인 선거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작가소개
서용원
徐 龍 源
現 (사)한국국제문화교류협회 사무차장
現 (사)세계합기도협회 운영위원
現 민족중흥회 운영위원
現 세계다이음협회 감사
現 국민의힘 충북도당 디지털정당위원회 위원장
前 청주대 겸임교수
前 한국교통대 겸임교수
前 김동원 국회의원 후보 정책·공보·홍보 특보
前 충북도지사 후보 디지털총괄본부 부본부장
前 충북교육감 후보 디지털총괄본부 본부장
前 윤석열 대통령후보 본선 미래세대위원회 대외협력단장
前 홍준표 대통령후보 경선 충북본부장
청주대 전자공학과 졸업
청주대 대학원 전자공학과 졸업 (공학박사)
청주대 총동문회 부회장
목차
목 차
서 문 1
<디지털 선거의 중요성> 2
<저자 메시지> 3
제1부: 비대면 선거의 이해 6
1. 비대면 선거란 무엇인가? 7
1-1. 정의와 역사 7
1-2. 비대면 선거의 필요성 11
제2부: 이기는 선거 전략 13
2. 선거 목표 설정 14
2-1. 목표의 중요성 14
2-2. SMART 목표 설정 방법 17
3. 경쟁 분석 및 유권자 이해 20
3-1.경쟁 후보 분석 20
3-2. 유권자 세분화 및 데이터 활용 22
제3부: 경선은 과학이다 26
4. 경선의 과학적 접근 27
4-1.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27
4-2. 통계적 분석과 예측 모델 29
5. 경선 전략 수립 31
5-1. 효과적인 캠페인 전략 31
5-2. 후보자 이미지 관리 33
제4부: 캠페인 계획과 실행 36
6. 캠페인 메시지 개발 37
6-1. 효과적인 메시지의 요소 37
6-2. 스토리텔링 기법 39
7. 비대면 캠페인 운영 42
7-1. 온라인 플랫폼 활용 42
7-2. 가상 이벤트 및 웨비나 기획 47
8. SNS를 통한 유권자 소통 51
8-1. SNS의 역할과 중요성 53
8-2. 효과적인 SNS 캠페인 전략 56
8-3. SNS 활용 60
9. 비대면 디지털 선거 전략 사례 74
출판사 서평
디지털 참여 선거의 기본은 유권자가 주인이 되어 적극적으로 선거 과정에 참여하는 문화의 형성에 있습니다. 현대의 유권자는 단순한 투표를 넘어, 후보자와의 소통을 통해 자신의 의견과 요구를 명확히 전달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참여는 유권자들이 자신의 목소리를 내고, 선거 결과에 대한 책임을 느끼게 하며, 민주주의의 근본적인 가치를 실현하는 데 기여합니다. 유권자가 주체적으로 참여하는 선거 문화는 정치적 의사결정 과정에서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후보자는 이러한 유권자의 목소리를 반영하여 공약과 정책을 수립하고 이행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민심을 반영한 공약은 유권자와의 신뢰를 구축하고, 다음 선거를 준비하는 데 있어 중요한 기반이 됩니다. 후보자가 공약을 성실히 이행함으로써 유권자들은 정치에 대한 신뢰를 갖게 되고, 이는 지속적인 정치 참여로 이어집니다. 디지털 시대의 선거에서 후보자는 유권자의 기대에 부응하는 책임 있는 자세를 가져야 하며, 이를 통해 더욱 건강하고 발전적인 민주주의를 이끌어 나갈 수 있습니다.
리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