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수험서/교재

이페이지

제14회 산업안전지도사 기출문제 해설 (제2과목 : 산업안전일반)

제14회 산업안전지도사 기출문제 해설 (제2과목 : 산업안전일반)

제14회 산업안전지도사 기출문제 해설 (제2과목 : 산업안전일반)

저자 우슬초

|

출판사 이페이지

|

출간일 2024.06.21

|

가격 2,500

책소개

이 책을 읽으시는 분들이 공부를 하는 목적은 학문적인 연구를 하기보다는 시험에 합격하기 위한 것일 겁니다. 그리고 시험은 과락 40점을 면하고 평균 60점을 얻으면 합격합니다. 100점을 맞을 필요가 없다는 것입니다.

시험공부를 하다 보면 느끼는 점이 있습니다. 그것은 기본서에 나오는 내용의 체계와 시험에 출제되는 내용의 체계가 서로 다르다는 점입니다. 사실 엄청나게 두꺼운 기본서를 다 알려면 머리가 터져버릴 정도일 것입니다. 그리고 그 기본서의 내용을 다 알아도 불합격할 수가 있습니다. 기본서의 내용이 시험에 출제되는 내용과 동떨어진 부분이 많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시험에 출제된 내용을 중심으로 깊이 있게 공부를 한다면 적은 노력으로도 소기의 성과를 달성할 수가 있을 것입니다.

이 책은 2024년도에 출제된 기출문제를 지문 하나하나마다 해당 법률 등의 근거를 들어 상세하게 해설하였습니다. 그리고 본문은 10P 크기로, 보충설명은 9P 크기로 표기하였습니다.

아무쪼록 이 책을 통하여 최소의 노력으로 합격하는 영광을 누리시기 바랍니다.

작가소개

우슬초

저서 - 산업안전지도사

1~3) 최근 6년간 기출문제 지문을 이론으로 구성한 산업안전지도사(전3권)
4~6) 최근 3년간 기출문제 지문을 이론으로 구성한 산업안전지도사(전3권)
7) 2022년도 1차 산업안전지도사 기출문제 해설 (전과목)
8~10) 산업안전지도사 기출문제 해설 (2020년도 10회) (전3권)
11~13) 산업안전지도사 기출문제 해설 (2019년도 9회) (전3권)
14) 산업안전지도사 기출문제 해설 (제3과목 : 기업진단ㆍ지도) (2018년도 8회)
15) 제13회 산업안전지도사 기출문제 해설 (제1과목)
16) 제13회 산업안전지도사 기출문제 해설 (제2,3과목)
17) 산업안전지도사, 경영지도사 기업 진단ㆍ지도 예상 지문(2024)
18) 제14회 산업안전지도사 산업보건지도사 기출문제 해설 (제1과목)
19) 제14회 산업안전지도사 기출문제 해설 (제2과목)
20) 제14회 산업보건지도사 기출문제 해설 (제2과목)
21) 제14회 산업안전지도사 산업보건지도사 기출문제 해설 (제3과목)

목차

26. 교육의 정의
27. 안전보건개선계획서
28. 버드의 재해 구성 비율
29. 안전보건관리담당자의 업무
30. 하버드 학파의 5단계 교수법
31. 안전관리의 생산성 측면 효과
32. 안전교육의 지도 원칙
33. 직무교육의 방법
34. 제조물 책임법상 결함
35. 재해조사의 1단계(사실 확인)
36. 재해 통계
37. 재해 발생 시 조치사항
38. 인간-기계 시스템
39. 소음 및 진동에 의한 건강장해의 예방
40. 인간의 시각 기능
41. 제품 설계에 인체 측정치를 적용하는 절차
42. 근골격계 부담 작업으로 인한 건강장해 예방
43. 근골격계질환 예방을 위한 유해요인 평가방법
44. 소리의 크기 비교
45.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제출 대상인 공사
46. 결함수(Fault Tree)
47. 신뢰도 계산
48. FMEA
49. 신뢰도 계산
50. 위험성 평가 실시규정

출판사 서평

26. 안전보건교육규정에서 정의하는 교육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비대면 실시간 교육”이란 정보통신 매체를 활용하여 강사와 교육생이 쌍방향으로 실시간 소통하면서 이루어지는 교육을 말한다.

② “인터넷 원격교육”이란 정보통신 매체를 활용하여 교육이 실시되고 훈련생 관리 등이 웹상으로 이루어지는 교육을 말한다.

③ “현장 교육”이란 사업장의 생산시설 또는 근무 장소에서 실시하는 교육을 말한다.

④ “안전보건관리담당자 양성 교육”이란 안전보건총괄책임자 자격을 부여하기 위한 양성교육을 말한다.

⑤ “전문화 교육”이란 직무교육기관이 근로자 등 및 직무교육대상자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업종 또는 관련 분야별로 개발ㆍ운영하는 교육을 말한다.

..........................................................................................
☞ 정답 ④
..........................................................................................

① “비대면 실시간 교육”이란 정보통신매체를 활용하여 강사와 교육생이 쌍방향으로 실시간 소통하면서 이루어지는 교육을 말한다. (○)

☞ 안전보건교육규정 제2조(정의) ① 이 고시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 각호와 같다.
15. “비대면 실시간교육”이란 정보통신매체를 활용하여 강사와 교육생이 쌍방향으로 실시간 소통하면서 이루어지는 교육을 말한다.

② “인터넷 원격교육”이란 정보통신 매체를 활용하여 교육이 실시되고 훈련생 관리 등이 웹상으로 이루어지는 교육을 말한다. (○)

☞ 안전보건교육규정 제2조(정의) ① 이 고시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 각호와 같다.
4. “인터넷 원격교육”이란 정보통신매체를 활용하여 교육이 실시되고 훈련생관리 등이 웹상으로 이루어지는 교육을 말한다.

③ “현장 교육”이란 사업장의 생산시설 또는 근무 장소에서 실시하는 교육을 말한다. (○)

☞ 안전보건교육규정 제2조(정의) ① 이 고시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 각호와 같다.
3. “현장교육”이란 산업체의 생산시설 또는 근무장소에서 실시하는 교육을 말한다(위험예지훈련 등 작업 전·후 실시하는 단시간 안전보건 교육을 포함한다).

④ “안전보건관리담당자 양성 교육”이란 안전보건총괄책임자 자격을 부여하기 위한 양성교육을 말한다. (×)

☞ 안전보건교육규정 제23조의5(안전보건관리담당자 양성교육과정 운영) ① 공단은 영 제24조에 따른 안전보건관리담당자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이하 "안전보건관리담당자 양성교육"이라 한다) 과정을 설치·운영하여야 한다.
② 제1항에 따라 실시하는 안전보건관리담당자 양성교육은 별표7과 같이 한다.
③ 제1항에 따라 실시하는 안전보건관리담당자 양성교육은 집체교육과 인터넷 원격교육을 병행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인터넷 원격교육은 총 교육시간의 3분의 1 범위 내에서 실시하여야 한다.

⑤ “전문화 교육”이란 직무교육기관이 근로자 등 및 직무교육대상자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업종 또는 관련 분야별로 개발ㆍ운영하는 교육을 말한다. (○)

☞ 안전보건교육규정 제2조(정의) ① 이 고시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 각호와 같다.
5. “전문화 교육”이란 법 제165조 및 산업안전보건법시행령 제116조 제2항에 따라 직무교육을 위탁받은 기관(이하 "직무교육기관"이라 한다)에서 업종 또는 전문 분야별로 개발·운영하는 교육을 말한다.

리뷰